SSD 교체하려고 할때 SATA SSD와 M.2 SSD 2종류 방식으로 많이 생각하는데요 실제로 수치상으로는 5~10배정도 차이나지만 실제 사용할때 속도 체감이 될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ATA SSD와 M.2 SSD는 모두 데이터 저장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입니다. 그러나 이 둘은 연결 방식과 형태, 성능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SATA SSD
SATA(Serial ATA) SS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SSD 유형 중 하나로, 2.5 인치 노트북 드라이브와 동일한 크기의 표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SATA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며, 대부분의 데스크톱 및 노트북에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 장점: 널리 사용되므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대부분의 시스템과 호환됩니다.
– 단점: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가 SATA III 인터페이스의 한계인 약 600MB/s로 제한됩니다.
2. M.2 SSD(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M.2는 작고 얇은 모듈식 디자인을 가진 새로운 유형의 연결 방식입니다. M.2 슬롯을 통해 직접 메인보드에 연결되며, 보다 빠른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장점: NVMe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GB/s 단위), 작고 얇아서 공간 활용에 유리합니다.
– 단점: 일부 오래된 시스템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SATA SSD보다 비싼 편입니다.
SSD m.2 VS SATA SSD 속도 체감이 될까요?
SATA SSD와 M.2 NVMe SSD 사이의 성능 차이는 분명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면서 느끼는 차이는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쓰느냐,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M.2 NVMe SSD는 이론적으로 SATA SSD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해요. 일반적인 SATA III SSD의 최대 전송 속도가 대략 600MB/s인 반면, M.2 NVMe 드라이브는 수 2000~8000MB/s의 전송 속도를 내줄 수 있거든요.
그런데 이런 차이가 실제로 사용하면서 어떻게 느껴지느냐는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일반적인 문서작업인 경우
웹 브라우징, 문서 작성, 간단한 멀티미디어 재생 등 일상적인 컴퓨터 작업에서는 SATA SSD와 M.2 NVMe SSD 사이에 큰 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워요. 이미 HDD에 비해 SATA SSD가 많은 성능 향상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거기에다가 NVMe까지 추가되어도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이죠.
2. 데이터 집약적인 작업
큰 파일을 자주 읽고 쓸 때나 영상편집 및 렌더링 같은 데이터 집약적인 작업에서 M.2 NVMe 드라이브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도움될 수 있어요.
3. 게임 및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게임 로딩 시간을 줄여주거나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게임과 같은 고사양 또는 영상편집 작업등을 할때는 M.2 NVMe SSD쓰면 속도체감이 되지만 그외에는 크게 체감되지 못해요
따라서 업그레이드를 계획중이분들은 아래 방식으로 선택하면 좋습니다.
– 기존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예산 중심의 경우: SATA SSD
– 최신 시스템 구축 및 공간 활용과 성능 중요시하는 경우: M.2 NVMe SSD
SSD방식보다 중요한 디램 유무 선택
SSD에는 보통 DRAM이라는 빠른 메모리 칩이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SSD 컨트롤러가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한 ‘맵’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이 맵은 SSD의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어디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데스크 탑 구성시 DRAM이 있는 제품을 구매하는것이 좋으며, 만약에 플스와 같은 제품에 SSD 확장하는 경우는 DRAMless도 좋습니다.
DRAM-less SSD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DRAM 칩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대신 SSD 컨트롤러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자체에 데이터 맵을 저장하고 사용합니다.
DRAM-less SSD의 주요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성능 저하:** DRAM은 NAND 플래시 메모리보다 훨씬 빠르므로, 데이터 맵을 찾아서 읽거나 쓸 때 DRAM이 있다면 그 과정이 더 빠릅니다. 따라서 DRAM-less SSD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조건 하에서 DRAM이 있는 SSD보다 성능이 낮습니다.
2. **내구성 감소:**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쓰기 작업 수행 시마다 손상되므로, 가능한 한 쓰기 작업의 수를 줄여야 합니다. 그런데 데이터 맵을 NAND에 직접 저장하는 DRAM-less 디자인은 추가적인 쓰기 작업을 발생시키므로 내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데스크 탑 구성시 DRAM이 있는 제품을 구매하는것이 좋으며, 만약에 플스와 같은 제품에 SSD 확장하는 경우는 DRAMless도 좋습니다.
추천컨텐츠